
[아시아월드뉴스] 질병관리청, 대한감염학회, 한국언론학회,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는 11월 6일 오후 3시, 서울 그랜드센트럴에서 ‘감염병 인포데믹 대응을 위한 위기소통 협력 포럼’을 개최하고 미래 감염병 재난 시 허위·조작정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민·관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 발생 시 국민에게 혼란을 주는 허위, 왜곡, 조작정보 등 감염병 인포데믹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정부부처, 분야별 학회, 디지털플랫폼 관련 단체가 함께 참여했다.
참석 기관은 위기소통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각 기관의 역할과 협력 방향을 공유하고 ‘공동선언문’을 채택해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공동선언문의 주요 내용은 정부와 분야별 학회, 디지털플랫폼 관련 단체 대표들이 감염병 위기 시 △신속·정확·투명한 정보 공유 △과학적 근거 기반의 정보 검증과 전문지식 역량 지원 △올바른 정보 확산을 위한 디지털플랫폼의 역할 강화 △상시 소통체계 구축 및 공동 대응을 골자로 한다.
발표 세션에서는 △김경희 교수가 ‘신종 감염병 인포데믹 대응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협력모델 연구’를 통해 민·관 협력체계의 필요성을 공유했으며, △윤호영 교수는 ‘인포데믹 확산에 대한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력 분석 연구’를 통해 플랫폼 개입 정책의 효과를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팬데믹 상황에서의 인포데믹 관리 방향, 과학적 근거 기반의 정보전달, 민·관 협력 강화를 위한 각 영역별 공조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번 포럼과 공동선언문 채택을 계기로 정부, 학계, 디지털 플랫폼 관련 단체 간 협력 토대가 만들어졌으며 기존 정부의 대응만으로는 올바른 정보 확산에 한계가 있었던 어려움을 민·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국민 불안 해소와 피해 최소화 기능을 협력 추진해 갈 것으로 기대된다.
임숙영 질병관리청 차장은 “우리는 팬데믹을 거치며 과학적 사실이 왜곡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빠르게 퍼질 때, 국민의 불안과 혼란으로 더 큰 사회적 피해를 일으킨다는 것을 경험했다”며 “감염병의 확산을 막는 것은 방역이지만, 인포데믹을 막는 힘은 ‘신뢰’에서 비롯된다. 이번 포럼을 통해 각 기관이 역할을 나누고 함께 대응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경청을 통해 국민 불안에 공감하고 정확한 정보와 투명한 소통으로 근거기반의 정보 확산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 아시아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